송명달의 프로필 사진
송명달

송명달

해양수산부
·
차관

총 자산

11억 2,090만

가족 제외

전년도 대비 자산 비교

전체 자산 규모 변화

연도별 카테고리 자산 변화

자산 구성 비율

2024
2023
2022

송명달의 더 자세한
자산 정보가 궁금하다면?

카테고리별 상세 자산 규모를 PDF 파일로 확인하세요
* 2023년 이전 자산 내역은 공직윤리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증권
건물
차량·기계류
예금
채무
기타
1억 2,320만
/ 11억 2,090만
2024
2023
2022
가족 제외

상장주식 포트폴리오

분류별 보유 비율

국가별 투자 비중

보유 주식 목록

직전년도 대비 실시간
전체
국내주식
해외주식
logo
팔란티어
100주 · 배우자
1,754만
+640만 8,442 (+57.55%)
logo
SK하이닉스
76주 · 배우자
1,515만
+193만 8,000 (+14.66%)
logo
테슬라
29주 · 배우자
1,377만
-346만 5,884 (-20.1%)
logo
삼성전자
200주 · 본인
1,116만
+52만 (+4.89%)
logo
코스맥스엔비티
2,521주 · 배우자
1,042만
+264만 7,050 (+34.04%)
logo
엔비디아
50.05005799주 · 배우자
942만 2,727
-47만 2,928 (-4.78%)
logo
머크
75주 · 배우자
804만 3,697
-294만 1,132 (-26.77%)
logo
코스맥스
33주 · 배우자
676만 5,000
+184만 4,700 (+37.49%)
logo
SOXL
260주 · 배우자
652만 779
-393만 3,433 (-37.63%)
logo
CJ ENM
70주 · 본인
377만 3,000
+1만 4,000 (+0.37%)
logo
자이언트스텝
520주 · 본인
349만 9,600
+52만 5,200 (+17.66%)
logo
덕산네오룩스
100주 · 본인
318만 5,000
+41만 (+14.77%)
logo
국도화학
80주 · 본인
260만 4,000
+14만 2,240 (+5.78%)
logo
원익IPS
110주 · 본인
246만 9,500
+1만 1,000 (+0.45%)
logo
대한항공
110주 · 본인
245만 3,000
-3만 3,000 (-1.33%)
logo
아모레퍼시픽
20주 · 본인
242만 6,000
+33만 (+15.74%)
logo
LG디스플레이
245주 · 본인
204만 3,300
-19만 3,550 (-8.65%)
logo
한국전력
60주 · 배우자
170만 4,000
+50만 1,000 (+41.65%)
logo
SK하이닉스
5주 · 본인
99만 7,000
+12만 7,500 (+14.66%)
logo
오텍
380주 · 배우자
89만 6,800
-32만 6,800 (-26.71%)
logo
푸드나무
300주 · 본인
60만 7,500
-22만 500 (-26.63%)
logo
동화기업
70주 · 배우자
56만 9,800
-9,800 (-1.69%)
logo
삼성전자
6주 · 장녀
33만 4,800
+1만 5,600 (+4.89%)
logo
LG에너지솔루션
1주 · 배우자
29만 1,500
-5만 6,500 (-16.24%)
logo
HK이노엔
7주 · 배우자
28만 3,150
+3만 2,200 (+12.83%)
logo
엠파크홀딩스
5주 · 배우자
· 주식 시세는 한국주식투자의 시세를 기준으로 제공됩니다. 한국, 미국, 베트남, 중국, 일본 시장에 상장된 주식만 확인 가능하며, 다른 국가 시장의 주식 정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. 상장폐지나 인수합병 등으로 현재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총 평가액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
· 주식 합병 또는 인수가 있었던 경우, 현재 합병 회사의 주가를 기준으로 가치를 계산하였습니다. 단, 합병/인수 비율에 따른 주식 수량 조정은 반영되지 않았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· 본 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참고용으로만 제공되며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. 이 정보를 투자 결정에 활용하실 경우, 모든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
· 표기된 자산과 실시간 계산된 자산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, 이는 시세 변동이나 집계 기준 차이에 따른 것임을 알려드립니다.